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많은 사람들은 공룡이 완전히 멸종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공룡의 일부는 지금도 살아남아 있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현대의 새(Birds)입니다. 고생물학자들은 수십 년간의 연구 끝에, 조류는 수각류 공룡에서 진화한 직접 후손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시조새


    1. 계통학적 증거 – 조류는 공룡이다

     

    ○ 조류는 수각류(Theropoda) 공룡의 한 분파로 분류됨

    ○ 대표적인 조류형 공룡: 벨로키랍토르, 미크로랍토르, 트로오돈

    ○ 조류와 수각류 공룡의 공통점

    • 세 발가락, 깃털, 공기주머니 구조, 두개골 형태
    • 공룡처럼 알을 낳고, 깃털로 체온 조절

    공룡 계통도


    2. 시조새(Archaeopteryx)의 화석과 복원 과정

     

    아래 이미지는 고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인 시조새(Archaeopteryx)의 화석과 복원 과정, 그리고 현대 조류와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이미지의 상단 – 시조새 화석 형태의 다양한 복원 스케치 (좌측 → 우측)

    • 다양한 화석 표본에서 복원한 시조새의 자세 및 날개 움직임을 스케치한 자료입니다.
    • 꼬리, 발가락, 날개 깃털의 배열이 날갯짓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화석은 독일의 솔른호펜 석회암층에서 발견된 것으로, 총 12개 이상의 개체가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이미지 좌측 하단 – 현대적인 새와 같은 복원 이미지

    • 시조새를 현대 조류의 형태에 가깝게 복원한 모습입니다.
    • 깃털 구조, 날개의 대칭성, 공기역학적 자세가 강조되어 있음
    • 그러나 여전히 이빨과 긴 꼬리 등 공룡의 특징도 남아 있는 점이 시사됨

     

     

    이미지 우측 하단 – 공룡에 더 가까운 형태의 시조새 복원도

    • 수각류 공룡처럼 긴 다리, 부리 대신 이빨, 앞다리에서 시작되는 날개를 강조
    • 꼬리도 긴 뼈를 가진 원시적 깃털 꼬리로 표현됨
    • 이 형태는 수각류와 조류 사이의 전이형 생물임을 잘 보여줌

     

     

    이미지 요약


    항목 설명
    🦴 골격 구조 손가락 3개, 발톱, 긴 꼬리뼈 → 수각류와 공통점
    🪶 깃털 대칭 및 비대칭 깃털 → 보온 또는 활강 용도
    🐦 새와의 유사점 속이 빈 뼈, 깃털, 날개 움직임
    🦖 공룡과의 유사점 이빨, 긴 꼬리, 발톱, 삼지형 앞다리

    3. 깃털 공룡의 화석 발견

     

    조류와 수각류 공룡은 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징에서 많은 유사성을 보이며, 이는 조류가 수각류 공룡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유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골격 구조: 조류와 수각류는 가벼운 뼈 구조, 삼지형 손가락, S자형 목 등을 공유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두 그룹 간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줍니다.

     

    • 중국 랴오닝성에서 다수의 깃털 달린 공룡 화석이 발견됨
    • 예: 안키오르니스(Anchiornis), 시노사우롭테릭스(Sinosauropteryx)
    • 멜라노솜 분석을 통해 깃털의 색깔과 구조까지 재현 가능

    안키오르니스(Anchiornis, 출처: The Natural History Museum)

     

    깃털: 수많은 수각류 공룡 화석에서 깃털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깃털이 비행뿐만 아니라 보온이나 의사소통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번식 행동: 일부 수각류 공룡은 둥지를 만들고 알을 품는 등 현대 조류와 유사한 번식 행동을 보였습니다.

     

    구분 시조새(Archaeopteryx) 오늘날 조류
    턱에 이빨 존재 이빨 없음 (부리만 있음)
    날개 구조 긴 앞다리 + 3개의 손가락 + 발톱 손가락 없음 / 발톱 없음
    가슴 근육 평평한 흉곽 → 비행 근육 미발달 발달된 흉골 → 강한 비행 근육
    꼬리 긴 뼈가 있는 깃털 달린 꼬리 짧은 뼈 + 깃털만 있는 꼬리
    깃털 있음 있음
    뼈 구조 속이 비어 있음 속이 비어 있음 (공기주머니 포함)
    앞발 손가락 손가락 3개 명확히 존재 손가락 흔적 매우 작거나 없음

    4. 치키노사우루스 실험: 닭에게서 공룡 형질을?

     

    • 고생물학자 잭 호너(Jack Horner)는 닭의 유전자를 조작해 공룡의 특징(이빨, 꼬리, 발톱 등)을 되살리려는 연구 진행
    • 이 실험은 ‘치키노사우루스(Chickensaurus)’ 프로젝트로 알려짐
    • 완전한 공룡 부활은 불가능하지만, 공룡과 조류의 진화 관계를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중요한 시도

    고생물학자 잭 호너(Jack Horner)는 현대 닭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공룡의 특징을 되살리는 '치키노사우루스(Chickensaurus)'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닭의 발달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공룡과 유사한 형질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프로젝트 진행 상황

     

    • 이빨과 주둥이: 2015년, 하버드 대학의 바트-안잔 S. 불라르(Bhart-Anjan S. Bhullar)와 그의 연구팀은 닭 배아에서 주둥이의 형성을 조작하여 공룡과 유사한 형태를 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꼬리: 호너 박사는 닭의 꼬리를 공룡의 긴 꼬리로 복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근 연구에서 꼬리 척추의 융합 과정을 이해하는 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

    2) 프로젝트의 의의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공룡의 외형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 조류와 공룡의 진화적 관계를 이해하고, 유전자 조작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호너 박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진화 생물학과 발달 생물학의 경계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3) 참고 자료

     

     

    INO CHICKEN UPDATE: Jack Horner's Incredible Announcement


    5. 새를 볼 때 공룡을 떠올리세요

     

    이제부터 길거리에서 새를 볼 때, 단순한 동물이 아닌 살아 있는 공룡의 후손으로 보셔도 좋습니다. 날 수 없는 공룡은 멸종했지만, 날 수 있는 공룡(=조류)은 살아남아 현재까지 번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 과거를 알면 현재가 보이고, 새를 알면 공룡을 다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