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이 2월 4일 사전 경기로 시작하여 2월 7일 개막식과 함께 본격적인 열전에 돌입합니다. 이번 대회는 2017년 일본 삿포로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리며,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산하 34개국, 선수 1300여 명이 참가하여 총 64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하게 됩니다.
1. 한국 선수단
한국은 이번 대회에 선수단 223명(선수 149명)을 파견하며, 직전 대회에서 거둔 종합 2위(금16·은18·동16)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특히 중국과의 순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기대 종목으로는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뿐만 아니라 컬링, 아이스하키, 스노보드 등도 포함됩니다.
- 선수단 파견: 223명(선수 149명)
- 종합 2위 유지 목표: 직전 대회(금16·은18·동16) 성적 유지
- 중국과의 순위 경쟁 치열 에상
- 기대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컬링, 아이스하키, 스노보드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이 2월 4일 사전 경기로 시작하여 2월 7일 개막식과 함께 본격적인 열전에 돌입합니다. 이번 대회는 2017년 일본 삿포로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리며,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산하 34개국, 선수 1300여 명이 참가하여 총 64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하게 됩니다.
2. 주요 경기 선수
1) 쇼트트랙
- 남녀 개인전(500m·1000m·1500m), 계주(남자 5000m·여자 3000m), 혼성 계주
- 여자부: 최민정(1500m 2연패 도전), 김길리(월드컵 종합 우승)
- 남자부: 박지원(세계 랭킹 1위, 5관왕 도전)
- 중국 대표팀: 린샤오쥔(임효준), 류 사오린·류 사오앙 형제 등 강력한 경쟁자 존재
2) 스피드 스케이팅
- 여자 500m: 김민선(세계 최정상급 선수, 4관왕 도전)
- 남자부: 이승훈(5000m, 팀추월 출전)
3) 피겨 스케이팅
- 남자 싱글(2월 13일): 차준환(한국 남자 피겨 역사상 첫 아시안게임 메달 도전)
- 여자 싱글: 김채연(4대륙선수권 은메달, 일본 사카모토 가오리와 대결 예상)
4) 컬링
- 믹스더블: ‘팀 킴’ 김경애·성지훈 조
- 여자 팀: ‘5G’(김은지·김민지·김수지·설예은·설예지)
- 남자 팀: 의성군청 대표팀
5) 스노보드
- 하프파이프(2월 13일): 이채운(2023 FIS 세계선수권 금메달)
6) 아이스하키
- 남녀 대표팀: 메달권 예상, 남자 대표팀 첫 금메달 도전
3. 일정
날짜 | 행사 / 경기 | |
2월 7일 | 개막식 | |
2월 8일 |
컬링 결승 | 혼성 믹스더블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1500m 결승 | |
남자 100m 결승 | ||
쇼트트랙 | 혼성 단체 계주 결승 | |
남자 1500m 결승 | ||
여자 500m 결승 | ||
남자 500m 결승 | ||
2월 9일 |
쇼트트랙 | 남녀 1000m 결승 |
여자 계주 3000m 결승 | ||
남자 계주 5000m 결승 | ||
스피드스케이팅 | 여자 500m 결승 | |
남자 5000m 결승 | ||
여자 팀 스프린트 결승 | ||
2월 10일 |
스피드스케이팅 | 남자 500m 결승 |
여자 3000m 결승 | ||
남자 팀 스프린트 결승 | ||
2월 11일 |
스피드스케이팅 | 남녀 1000m 결승 |
남녀 팀 추월 결승 | ||
피겨 | 남자 싱글 본선(쇼트) | |
2월 12일 | 피겨 | 여자 싱글 본선(쇼트) |
2월 13일 |
피겨 | 남녀 싱글 본선(프리) |
스노보드 | 남자 하프파이프 결승 | |
2월 14일 |
컬링 | 남녀 결승 |
아이스하키 | 남자 결승 | |
폐막식 |
4. 마무리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은 한국 선수단에게 큰 도전과 기회의 장이 될 것입니다.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을 비롯한 다양한 종목에서 우리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팬 여러분들의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