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킹 지수, 호킹 지수 뜻
"호킹 지수"는 독자가 책을 실제로 얼마나 읽었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책 전체를 100으로 보고, 구입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페이지를 실제로 읽었는지를 비율로 계산합니다. 흥미로워서 샀지만 몇 장 읽고 덮어버린 책일수록 호킹 지수는 낮게 나오며, 반대로 끝까지 읽은 경우 지수가 높아집니다.
1. 호킹 지수 뜻
호킹 지수는 독서 완료율을 수치로 나타낸 개념으로, 책을 산 사람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실제로 끝까지 읽었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본래 아마존 킨들 독서 데이터를 분석하며 등장한 개념으로, 책의 진짜 인기와 독서 지속률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뜻: 책을 구입한 독자가 실제로 읽은 분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
유사 표현: 독서 완료율, 읽은 비율 지수, 완독 지표
관련 신조어: 책플렉스, 반독, 장서포비아
2. 호킹 지수 유래
"호킹 지수"라는 말은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책 『시간의 역사』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팔렸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독자가 초반만 읽고 중도에 포기한다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많이 팔렸지만 끝까지 읽힌 정도는 낮은 책'을 상징하며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3. 호킹 지수 예시
호킹 지수는 단순한 판매량이 아닌 실제 독서 행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출판사나 독자에게도 흥미로운 정보가 됩니다. 예를 들어 화제의 베스트셀러라도 초반만 읽히고 마는 책이라면 호킹 지수가 낮게 나타납니다.
† "그 책은 수많은 독자가 샀지만 호킹 지수는 12%에 불과했다."
† "호킹 지수가 높다는 건 단지 흥미로운 내용이 아니라, 독자를 끝까지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는 뜻이다."

4. 호킹 지수 한자 및 영어 표현
호킹 지수는 고유명에서 비롯된 신조어로, 한자 표현은 따로 존재하지 않지만 의미상 '독서 완료율(讀書完了率)' 또는 '실독 비율(實讀比率)'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는 ‘Hawking Index’라고 하며, 아마존 킨들 데이터를 분석해 책의 실제 독서 완료율을 계산할 때 쓰입니다.
한자 표현: 독서 완료율(讀書完了率), 실독 비율(實讀比率)
영어 표현: Hawking Index, book completion rate
"호킹 지수"는 단순한 ‘책 구매’가 아닌, 진정한 독서 습관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개념입니다. 베스트셀러보다 완독률이 높은 책이 진짜 좋은 책일지도 모릅니다.